프로토콜은 다음을 위해 계층적 모듈 구조를 가지고 있음
****주소 표현
여러 호스트가 연결된 상황에서 특정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이름을 부여하는 것 → 주소 체계
오류 제어
→ 물리 계층의 전송 매체에 의한 물리적인 오류이므로 데이터 링크 계층이 해결
⇒ 네트워크에서 전송 오류 해결은 주로 데이터 재전송`
흐름 제어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전송/처리 속도 제어 → 수신 호스트의 버퍼 공간 부족으로 인한 데이터 누락 방지
계층 구조 프로토콜에서 하위 계층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형화한 것 → 즉,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서비스는 프리미티브 형태로 구현 됨
하위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연결형 서비스: 연결 설정 단계, 데이터 전송 단계, 연결 해제 단계로 이루어짐
→ 프리미티브 종류: CONNECT, DATA(전송), DISCONNECT
비연결형 서비스: 연결 설정/해제 단계 없이, 데이터 전송만 있음 (순서 보장X)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기능
통신 프로토콜에서 프리미티브를 올바르게 수행하려면 각 프리미티브가 4가지 기능을 포함하도록 설계해야 함
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