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용어의 정의
네트워크 기초 용어
-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촉 지점
(hardware - usb, 잭의 크기, software-함수 이름, 매개변수)
- 전송 매체: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 프로토콜: 논리적으로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표준화된 대화 규칙 → 인터페이스 vs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용 전송 매체로 연결된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하나의 단위
→ 소규모의 네트워크가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어 더 큰 네트워크를 구성
- 인터넷: 전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가 유깆거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 표준화: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연동형식을 통일시키는 것
시스템 기초 용어
- 노드: 특정 시스템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
→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는 라우터와 바깥족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호스트로 구분
- 라우터: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며, 기본으로 데이터 전송 기능을 포함
→ 최적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중개하는 기능
- 호스트: 인터넷 바깥쪽에 연결되어 일반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접속 창구 역할을 함
⇒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분
- 클라이언트: 임의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aside>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상대적
인터넷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은 대부분 응용 프로그램(호스트 단위X)으로 구현되므로 보통 클라이언트 프로세스, 서버 프로세스라는 호칭이 더 자연스러움
</aside>
2. 구조적 모델
OSI 7계층 모델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에서 제안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추어야할 기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