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라우팅 기능
라우팅 시스템은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로 중개하는 교환 기능을 제공
<aside>
💡 교환(Switching) = 라우팅(Routing)
</aside>
라우팅 시스템의 종류
회선 교환
-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
→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
- 고정 대역의 논리적인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 →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률 지원
메시지 교환
- 경로를 미리 설정하지 않는 대신 전송하는 메시지의 헤더마다 목적지 주소를 표시
- 중간의 교환 시스템은 이전 시스템이 보낸 모든 메시지가 도착할 때까지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버퍼에 저장 → 모두 도착하면 다음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하는 전체 데이터가 하나의 단위로 교환 처리됨
패킷 교환
- 회선 교환과 메시지 교환의 장점 모두 이용 → 네트워크에서 주로 이용하는 방법
- 전송할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일정 크기로 나누어 전송
- 송수신 호스트 사이 연결 존재X, 각 패킷은 독립적인 라우팅 과정을 거침
- 장점
- 전송 대역의 효율적 이용: 동적인 방식으로 전송 대역을 공유
→ 전송 선로의 이용 효율 극대화
-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 연결 요청에 고정 대역 할당X, 호스트 무제한 수용
→ 호스트가 너무 많아지면 네트워크 혼잡도↑ ⇒ 패킷 전송 지연 심화
- 패킷 우선순위 부여: 각 패킷에 선택적으로 우선순위 부여 가능
- 단점
- 회선 교환 방식에 비해 더 높은 지연 발생
- 패킷 마다 전송에 걸리는 시간 일정X
패킷 교환의 2가지 전송 방식
가상 회선(연결형 서비스 지원)
- 미리 설정된 논리적인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