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송 방식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정보 공유: 컴퓨터 하드웨어뿐 아니라 각 호스트에서 제공하는 논리적인 정보를 공유
- 병렬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 네트워크가 시스템 버스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의 분산 병렬 처리 시스템 발전
- 중복 저장에 따른 신뢰성 향상: 중요한 정보를 여러 시스템에 중복 저장하여 정보의 접근성과 신뢰성 향상
1.1 전송과 라우팅
네트워크에 연결된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전송과 교환 과정을 겨쳐야 함.

- 교환(Switching): 전달 경로가 둘 이상일 때 라우터에서 데이터의 전달방향을 선택하는 기능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라우팅(Routing)**이라는 용어로 사용
- 전송(Transmission): 특정한 물리 매체에 의하여 1:1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것
전송 방식의 종류
-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의 지리적 분포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
⇒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규모의 통신망), WAN(Wide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
- 데이터 전송/라우팅 기술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나뉨
⇒ 점대점방식, 브로드캐스팅 방식
1.2 점대점 방식(Point to Point)
라우팅 호스트가 송수신 호스트의 중간에 위치함
WAN 환경과 같은 원거리 호스트를 연결할 때 사용
⇒ 특정 호스트 사이를 직접 연결한 전송 매체가 있는지, 우회 경로가 있는지가 중요
연결 개수가 많아지면 성능은 좋아지지만 비용이 많이 듬, 연결 개수가 적어지면 혼잡도 증가
복잡도에 따른 전송 매체를 조절하는 불규칙형의 구조가 일반적

스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