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처리하는 기술
- 네트워크 품질 보장을 위한 트래픽 제어 기술
정의/특징
- 다른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흐름 등에 우선 순위를 정하여, 데이터 전송에 특정 수준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능력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중요도를 분류하여, 이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이 보장됨
- 낮은 우선 순위의 연결(트래픽)을 제한하여 혼잡을 해결
ex)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면 속도를 낮춰 무제한으로 바뀌는 요금제
→ 다른 사용자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과다 트래픽 사용자를 제재

트래픽에 따른 우선순위의 예시
등장 배경
-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개별 flow/하나의 인터넷 연결에 대해서 더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음
→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트래픽)로 인해 우선순위가 높은 연결이 영향을 받음 ⇒ Qos 문제
ex) 인터넷 페이지 접속으로 줌 회의/시청중인 영상이 끊어짐
- 인터넷 연결에 분류를 나눠서 특정 분류의 연결을 더 우선적으로 서비스하거나 공유 링크의 특정 비율까지 차별적으로 이용하게 하려는 시도가 일어남
⇒ CoS(Class of Service)라고 불렀음 - 특정 분류에 따른 차등 서비스
⇒ QoS라는 용어 점차 대중화됨 - 개별 연결에 각각의 차등적인 서비스
대표적인 QoS 방식
-
트래픽 분류
-
트래픽 쉐이핑(Shaping)
-
트래픽 폴리싱(Policing)
-
혼잡 제어
-
스케줄링
-
버퍼 관리
고찰
트래픽 쉐이핑(Shaping) vs 폴리싱(Policing)

Shaping